개인정보 가명화(비식별화)의 필요성
한국에서는 올해 데이터 3법이 발효되었습니다.
https://www.korea.kr/special/policyCurationView.do?newsId=148867915
이에 따라 개인정보 가명화와 비식별화가 앞으로는 대두가 될 것입니다.
zendesk의 티켓 화면에서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이름과 이메일 주소부터 비식별화가 필요합니다.
마스킹의 예시
성명(한글) | 성명 중 이름의 첫 번째 글자 이상 | 홍길동 | 홍*동 |
김가나다 | 김**다 | ||
성명(영문) | 앞 3자리를 제외한 전체 | HONGGILDONG | HON******** |
전화번호 (팩스번호) |
전화번호의 국번 | 02-123-1234 | 02-***-1234 |
휴대전화번호 | 휴대전화번호의 국번 | 010-1234-1234 | 010-****-1234 |
IP주소(ver 4) | 전체 중 17~24비트 영역 | 123.123.123.123 | 123.123.***.123 |
이메일 주소 | ID 중 앞 4자리 | honggil@a.com | ****gil@a.com |
옵션으로 가명화나 비식별화 기능이 제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해당 내용에 대해 검토하고 대비하였으면 합니다.
Please sign in to leave a comment.
0 Comments